무한도전
-
'짝'의 무엇이 예능을 술렁이게 하나옛글들/명랑TV 2011. 10. 27. 12:24
'무한도전'은 왜 '짝'을 패러디했을까 '짝'이 언제부터 이렇게 예능에 가장 '핫(hot)'한 프로그램이 됐을까. 시청률은 아직 10% 내외지만 이 프로그램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은 뜨겁다. 남자○호, 여자○호라는 지칭은 유행어가 되고 있을 정도다. 뜨거운 관심은 끝없는 논란으로도 이어졌다. 방송 중간 애정촌을 뛰쳐나가는 해프닝을 일으켰던 출연자의 게시판 폭로는 뜨거운 조작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아무래도 출연자들이 일반인인데다, 이런 본격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지상파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건 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과 우려, 관심은 대중들은 물론이고 방송가에도 그만큼 뜨겁다는 것이다. 이른바 잘 나간다는 예능 PD들 치고 '..
-
'무도'와 바른 언어, 가능하긴 한 걸까옛글들/명랑TV 2011. 10. 11. 11:24
상황극을 통해 '무도'가 보여준 바른 언어의 어려움 '무한도전'의 언어와 자막에 대해 방통위가 내린 경고조치는 '무한도전' 스스로도 고민이 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방통위의 결정대로 바른 말을 사용하려니 '무한도전' 멤버들만의 캐릭터가 나타나기 어렵고, 무엇보다 리얼 버라이어티쇼로서 마치 대본을 읽는 듯한 어색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 결정을 무시할 수도 없는 일이다. 다른 프로그램도 아니고 '무한도전' 아닌가. 이만큼 방송을 통해 우리네 언어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도 없는 게 사실이다. 그래서 선택한 것은 그 고민스러운 상황 자체를 프로그램으로 녹여서 하나의 공론의 장을 만들자는 것이다. 역시 '무한도전'다운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길 때, 그것을 덮어두거나 무시..
-
'무한도전', 의미는 왜 숨길수록 빛날까옛글들/명랑TV 2011. 9. 26. 09:39
'무한도전'이 재미를 통해 의미를 전하는 방식 '무한도전' 스피드 특집은 정체모를 목소리의 지시에 의해 긴박하게 흘러가는 미션으로 이어졌다. 차가 폭파되는 장면을 눈앞에서 목격하고 단서들을 찾아다니는 미션은 출연진들을 미궁 속으로 빠뜨렸다. 이것은 시청자들도 마찬가지였다. 아무런 연관성 없는 미션들이 나열되어 있는 것 같았고, 중간에 노홍철의 차량이 폭파되는(물론 장난이었지만) 장면은 심지어 충격적이었다. 마지막에 이르러 이 모든 단서들이 '독도'와 연관되어 있다는 암시들이 잠깐 나왔지만, 프로그램에서는 이 의미에 대한 어떤 언급을 해주는 자막도 끝내 없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끝나고 '무한도전' 스피드 특집이 사실은 '독도 특집'이었다는 것은 시청자들에 의해 의미가 부여됐다. 물론 이것은 제작진이 의도..
-
유재석, 강철체력보다 성실성인 이유옛글들/명랑TV 2011. 8. 18. 09:09
유재석의 리얼 버라이어티쇼 장수 비결은?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 가장 중요한 자질은 무엇일까. 즉각적인 상황에 대처하는 순발력? 쇼의 흐름을 이해하는 능력? 아니면 자신만의 캐릭터를 드러낼 수 있는 끼와 연기력?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체력이다. 아무리 순발력과 능력과 끼와 연기력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리얼 버라이어티쇼가 요구하는 강인한 체력이 없다면 모두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강호동과 유재석이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양분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강인한 체력이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천하장사 출신인 강호동은 말할 것도 없고, 유재석 역시 늘 준비된 체력의 소유자로 이름이 높다. 이런 유재석의 장점은 '무한도전'의 장기미션에서 돋보인다. 프로레슬링 특집이나 조정 특집에서 유재석이 프로그램의 동력으로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