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
'아랑사또전', 경계가 없는 기묘한 사극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9. 21. 07:55
, 도대체 무슨 얘길 하려는 걸까 은 도대체 무슨 얘길 하려는 걸까. 보면 볼수록 기묘한 사극이다. 판타지 멜로인 줄 알았는데 액션에 미스테리에 심지어 공포까지 장르를 넘나든다. 에서 봤던 억울하게 죽은 처녀귀신과 그 귀신의 한을 풀어주는 사또 이야기처럼 시작했지만, 그것은 이 사극의 1%도 안되는 전제에 불과했다. 귀신을 보는 사또 은오(이준기)는 처녀귀신 아랑(신민아)이 가진 비녀가 자신이 어머니에게 줬던 것임을 알아채고 그녀의 죽음을 밝히는 일이 어머니를 찾을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야기는 갑자기 홍련(강문영)이라는 미스테리한 존재가 등장하면서 복잡해진다. 인간을 해하는 절대악이자 요괴인 홍련은 등장인물들과 모두 관련을 맺고 있다. 그녀는 은오의 어머니(아마도 죄를 짓고 쫓겨난 선녀 ..
-
<추적자>와 <유령>, 시청자가 달라졌어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7. 12. 10:26
장르가 아닌 완성도, 시청자들의 달라진 눈높이 드라마 시청자들이 달라지고 있다. 와 같은 장르 드라마들의 선전이 그것을 에둘러 말해준다. 물론 시청률은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드라마 시청률이 낮아졌다는 점과 그것을 감안했을 때 시청률이 괜찮은 편이라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화제성 면에서 단연 압도하고 있다는 점은 과거와 달라진 시청자들의 성향을 예감하게 한다. 가 시청률 18%에 육박하고 있는 건 물론 이 드라마가 가진 강력한 극성 덕분이다. 현실을 그대로 보는 것만 같은 리얼리티에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 쏟아져 나오는 명대사들, 잘 구축된 캐릭터를 제 옷처럼 입고 연기하는 연기자들, 게다가 숨 쉴 틈 없이 속도감 있게 잘 짜여진 연출까지 뭐하나 빼놓을 것 없는 완성도가 바로 그 높은..
-
'더킹'의 고충, 도너츠가 아니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4. 15. 08:50
도너츠에 가려버린 '더킹'의 진짜 고충 '더킹 투하츠'가 아니라 '던킨 돈허츠'? 과도한 PPL 논란이 불거지고, 마침 시청률이 뚝 떨어지면서 경쟁작인 '옥탑방 왕세자'에 밀려버리자, 심지어 이 추락의 이유가 도너츠 때문이라는 얘기까지 나왔다. 과연 도너츠의 위력(?)이 이렇게 컸던 걸까. PPL에 대한 논란은 언제나 있어 왔지만 PPL 논란으로 인해 시청률이 빠졌다는 얘기는 과도한 면이 없지 않다. 시청률 추락의 진짜 이유가 따로 있는 건 아닐까. '더킹 투하츠'는 소재적으로나 장르적으로 난점이 많은 드라마다. 즉 남북이라는 소재가 가진 문제와 가상 드라마라는 낯선 장르적 위치는 드라마로서는 실험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남측을 대표하는 왕제 이재하(이승기)와 북측을 대표하는 북한특수부대 여자1호 교..
-
'뿌리', 웬만한 장르는 다 있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26. 11:58
'뿌리', 장르의 종합선물상자된 이유 '뿌리 깊은 나무'의 첫 시작은 액션 스릴러였다. 궁에 겸사복으로 들어온 채윤(장혁)이 세종(한석규)을 살해하기 위해 상상으로 재구성하는 액션 신은 시청자들의 눈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그렇게 시작된 액션은 채윤의 어린 시절인 똘복(채상우)과 세종의 젊은 시절인 이도(송중기)의 이야기로 넘어가면서 정치드라마라는 장르로 옮겨간다. 세종과 태종 이방원(백윤식) 그리고 정도전 일파의 정치 대결구도가 그것이다. 이 정치 대결의 이야기는 그러나 정치드라마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무휼(조진웅)과 조말생(이재용)의 대결구도로 넘어가면서 액션 장르와 뒤섞인다. 태종이 밀본(정도전에 의해 만들어진 비밀결사)을 찾아내는 과정은 정치적인 해석과 지적인 추리가 절묘하게 얽혀있는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