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무엇이 서영이를 홀로 서게 만들었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28. 08:54
가 관계의 피곤을 넘어서는 법 “왜 아버지 하고 싶은 대로만 사랑이라고 하세요?” 에서 아버지 이삼재(천호진)를 다시 만난 서영이(이보영)는 이렇게 말한다. 이삼재가 딸 서영이를 잊지 못하고 그 주변을 빙빙 돌며 심지어 딸의 남편인 강우재(이상윤)를 구해주기까지 한 것에 대해서 서영이는 고마움을 표현할 수가 없었다. 그것이 아버지의 사랑이라는 것을 알지만 바로 그 사랑 때문에 모든 게 들통 나고 결국 강우재와 헤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늘 아버지 행동이 자식들 위할 거라는 착각 이제 제발 그만 좀 두세요.” 모진 말이지만 이 말 속에는 그간 아버지가 가족을 위해 돈을 벌겠다는 미명하에 했던 무모한 사업으로 오히려 가족들을 힘겹게 했던 것에 대한 서영이의 감정이 들어 있다. “잘 해보고 싶었는..
-
조승우는 남자 캔디, 권상우는 남자 신파 왜?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23. 09:29
와 , 뒤바뀐 남자 캐릭터 왜? 에서 백광현(조승우)을 보면 떠오르는 캐릭터가 있다. ‘외로워도 슬퍼도 나는 안 울어-’하고 노래 부를 법한 캔디 캐릭터다. 어린 시절 버려져 마의로서 자라오지만 그가 힘겨운 시간들을 버텨낼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주변에 많은 인물들이 그를 도와주고 챙겨주었기 때문이다. 특히 백광현은 여복(女福)을 타고 난 인물이다. 드라마에 나오는 대부분의 여인들이 백광현 바라기일 정도다. 어린 시절부터 백광현을 그리워했던 강지녕(이요원)은 물론이고, 숙휘공주(김소은) 역시 그에게 연심을 품고 뒤에서 모르게 그를 돕는다. 그로 인해서 병을 고친 서은서(조보아) 역시 마음 한 구석에 그를 품고 사라진 그를 찾아다닌다. 사암도인의 제자였던 소가영(염현경)은 연심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늘 백광..
-
'내 딸 서영이', 어쩌다 박정아는 잊혀진 존재 됐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21. 08:27
, 최윤영과 박정아 주조연이 바뀌었나 에서 새롭게 주목받는 인물은 단연 호정(최윤영)이다. 상우(박해진)가 본래 진지하게 사귀었던 인물이 호정이 아니라 미경(박정아)이었던 사실을 생각해보면 이 갑작스런 변화는 당혹스러울 정도다. 한 회 분의 방송분량으로만 비교해 봐도 호정과 미경이란 캐릭터는 이제 주조연이 바뀌어버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우와 사귀던 시절만 해도 미경의 분량이 거의 대부분이었고, 호정은 그저 한 때 스쳐 지나는 한 조연에 불과했었지만, 지금은 미경의 존재감을 거의 지워버릴 만큼 그 방송분량이 많아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사랑과 결혼이라는 것이 언제든 바뀔 수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그래도 개연성이라는 것을 따라야 하는 게 사실이다. 상우와 미경은 서로 사랑했던 사이였고, 그들..
-
외과의들, 조선으로 간 까닭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17. 10:03
사극과 의드의 만남, 그 진화의 계보학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몸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함부로 훼손할 수 없다는 에 실린 공자의 말은 동양의학에서 외과의 영역을 위축시켰다. 칼로 째고 바늘로 꿰매는 외과술은 이 효를 근간으로 하는 동양의 가치관과 부딪치면서 좀체 빛을 보지 못했던 것. 하지만 드라마는 사정이 조금 다른 것 같다. 사극과 의학드라마라는 두 장르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강력한 극성 때문에, 최근 사극은 과거에는 좀체 존재하지 않았던 외과의에 주목하고 있다. 에서 백광현(조승우)은 뼈가 썪어 가는 부골저를 치료하기 위해 스승인 고주만(이순재)의 뇌수술을 감행했다. 머리에 구멍을 뚫고 그 병변에 직접 약재를 투입했던 것. 하지만 파상풍 부작용에 의해 스승이 죽게 되자 도망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