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공익예능을 바라보는 상반된 시선옛글들/명랑TV 2009. 12. 3. 17:02
예능 프로그램, 무엇이 공익일까 이른바 공익 예능프로그램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 ‘1박2일’은 애초 기획의도에서부터 일정부분 공익성을 담고 있었다. 바로 우리네 관광자원의 발굴과 오지에 대한 조명 등이 그것이다. ‘무한도전’은 초기 도전을 통한 성장 버라이어티로 시작해서 점점 성장의 정점에 이르자, 그 도전의 공익적 성격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도전하는 국내 봅슬레이팀들을 위해 그 스포츠의 세계로 뛰어드는 것이나, 한식의 세계화를 위해 뉴욕으로 달려가는 것, 혹은 각종 사회적 이슈들은 소재 속에 녹여내는 방식은 ‘무한도전’ 특유의 공익을 보여준다. ‘천하무적 야구단’은 전형적인 스포츠 버라이어티지만 사회체육의 활성화라는 측면에서도 그렇고 야구라는 스포츠의 저변을 알리는 ..
-
유쾌한 드라마, 불쾌한 드라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2. 3. 08:44
드라마 시청에 있어서 기분이 차지하는 것들 세상에 저렇게 불쾌한 드라마가 시청률은 왜 저리도 높을까. 어쩜 이렇게 유쾌한데도 왜 시청률은 도무지 오르지 않을까. 물론 불쾌와 유쾌란 기분의 차원이지만, 누구나 드라마를 보며 이런 의문을 품어보지 않은 분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심지어 자신의 취향이 대중들의 취향과는 다르다는 조급한 결론에 도달하는 분들도 있다. 도대체 왜 이럴까. 그 이유는 시청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이 불쾌와 유쾌를 나누는 기분의 차원뿐만 아니라, 그 위에 시청자와의 현실적인 공감대, 그리고 드라마의 완성도 같은 기준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어떤 드라마가 유쾌한데도 불구하고 시청률이 낮다는 것은 다른 측면이 부족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또 반대로 불쾌함에도..
-
'강심장'에 대처하는 '상플'의 자세옛글들/명랑TV 2009. 12. 2. 09:25
'강심장'의 실험, '상플'의 복고 강호동, 이승기 같은 하나의 아이콘이 된 MC들. 인해전술에 가까운 화려한 게스트. 그 게스트들이 쏟아내는 경쟁적인 이야기들과 퍼포먼스들. '강심장'은 프로그램 제목처럼, 강호동의 고함에 가까운 성량이나 강력한 리액션처럼, 강한 면모를 전면에 내세운 토크쇼다. 자신의 이야기를 경매 부치듯 제목을 적어 푯말로 세워두는 컨셉트는, 포털 메인 화면 위에 떠 있는 자극적인 제목들의 낚시질처럼 여겨질 때가 많다. 포털 메인 화면이 그러하듯이 많아진 인물들(사실은 많아진 이야기 종류)은 그만큼 다양해진 대중들의 취향을 반영한다. 강호동과 이승기는 그 이야기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해 들을 것인가를 정하는 마우스의 화살표 같은 역할을 하고, 이야기 배틀을 통해 어떤 순위가 정해지는 것..
-
일밤 '헌터스' 논란, 무엇이 공익인가옛글들/명랑TV 2009. 12. 1. 08:35
'헌터스'는 과연 공익이 될 것인가 농작물 피해를 입은 농민들을 위해 멧돼지 포획은 허가되어야 하는 것일까. 뉴스를 통해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 소식을 종종 접하다 보면, 멧돼지의 '유해조수 지정'과 포획이 당연한 것처럼 보인다. 농민들의 피해는 물론이고, 도심으로 뛰어든 멧돼지가 자칫 인명 사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새 코너 '헌터스'의 기획 의도는 바로 이 멧돼지 문제를 공론화해보겠다는 김영희 PD의 의욕이 엿보인다. 하지만 이 멧돼지 문제는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환경부에서 이른바 '도심 출현 야생 멧돼지 관리대책'을 발표했고, 이로써 전국 19개 시·군의 수렵장에서 총기 등을 활용해 멧돼지를 포획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러한 대책이 전체적인 생태를 고려하지 않은 미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