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드라마, 예능을 장악한 신상(?) 캐릭터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8. 26. 16:25
대중들은 신상 캐릭터에 목마르다 윤상현이 ‘겨울새’에 출연했을 때, 그 마마보이 찌질남 역할에 시청자들이 주목할 줄 누가 알았을까. 잘 생기고 분위기 있어 보이는 외모의 윤상현은 오히려 한없이 망가지는 찌질한 역할을 통해 스타덤에 올랐고 그 여세를 몰아 MBC 일일시트콤 ‘크크섬의 비밀’에서 그 캐릭터의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엄마가 뿔났다’에서 가장 주목받는 캐릭터는 누굴까. 그건 주인공인 김한자(김혜자)도 아니고, 나일석(백일섭)이나 나이석(강부자)도 아닌 고은아(장미희)다. 이는 현재 광고계에서 타 캐릭터와 비교해 고은아 캐릭터가 더 많이 활용하고 있는 걸 보면 알 수 있다. 김수현 작가도 스스로 밝혔듯이 이렇게 된 것은 전적으로 장미희의 연기력이 한몫을 차지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 도도하..
-
허구연과 임오경은 어떻게 스타해설자가 됐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8. 26. 07:27
달라진 올림픽 중계, 방송사고와 진솔한 방송 사이 스포츠 중계만큼 시대에 민감한 것이 있을까. 정확한 분석과 재미있는 해석, 무엇보다 침착한 어조로 시청자들에게 신뢰와 재미를 동시에 주었던 고 송인득 캐스터가 그리웠던 분이라면 이번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은 그야말로 난장판 그 자체로 보였을 지도 모른다. 경기에 대한 정보를 주어야할 캐스터들이 고함과 감탄사만 날리고, 해석의 재미를 제공해야할 해설자는 방송에 부적격한 언변을 쏟아내는 것에 눈살을 찌푸렸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스포츠 중계를 해주는 TV의 환경이 달라졌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런 실수와 해프닝들이 이해될 수도 있지 않을까. 이제 TV 뉴스 속의 아나운서들도 예능 프로그램에 나와 막춤을 추고 개인기를 보여주는 세상이 아닌가. TV가 보도의 신뢰..
-
‘무한도전’과 여자 핸드볼, 최선이 최고를 만든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8. 8. 24. 07:46
‘무한도전’과 우리 생애 최고의 팀의 만남 이제 ‘무한도전’의 소소한 도전은 시시해졌다. 그만큼 ‘무한도전’의 위상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큰 이벤트를 만나면 ‘무한도전’의 도전은 빛을 발한다. 베이징 올림픽을 맞아 우리 생애 최고의 팀, 여자 핸드볼 팀의 경기를 해설하고 응원한 ‘무한도전’의 스포츠 해설은 시청자들에게 큰 웃음과 감동을 선사했다. 왜 하필 여자 핸드볼 팀이었을까. 사실 거의 모든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이 각각의 드라마를 갖고 있지만 여자 핸드볼 팀이 가진 드라마가 그만큼 독보적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통해 널리 알려진 그 드라마가 베이징의 핸드볼 경기장에서 실제로 벌어지고 있었다. 한번 출전하기도 힘든 올림픽에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이번..
-
게임을 보면 쇼가 보인다옛글들/명랑TV 2008. 8. 23. 08:05
‘1박2일’의 스포츠, ‘패떴’의 심리게임 야생버라이어티쇼 ‘1박2일’을 최고의 자리에 올려놓은 건 무엇일까. ‘1박2일’만의 독특한 캐릭터와 야생의 체험, 그리고 어디로 튈지 모르는 의외성 같은 것들과 함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게임일 것이다. 잠자리와 먹거리를 두고 펼쳐지는 복불복 게임의 처절함(?)은 ‘1박2일’에 야생의 느낌을 부각시켰다. 이것은 새롭게 시작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패밀리가 떴다’에서도 마찬가지다. 유재석은 매번 집착적으로 게임을 하자고 제안하며, 마치 프로그램은 실내에서 하던 게임쇼 ‘X맨’의 야외 버전처럼 각종 게임으로 구성된다. 현장의 지형지물을 활용한 게임들이 등장하고, ‘X맨’에서의 ‘당연하지’게임 같은 심리 게임 ‘사랑해 게임’과 ‘진실게임’이 자리를 잡는다. 그만큼 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