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한드, 미드에서 배울 것들옛글들/명랑TV 2007. 5. 15. 11:14
사전제작만이 해답이다 한류는 가고 미드(미국드라마)가 오나? 인터넷을 통해 유포되던 미드는 케이블TV를 통해 수면 위로 고개를 내밀더니 어느덧 공중파에까지 손을 뻗치고 있다. ‘CSI 마이애미’가 현재 방영되고 있는 상황이며 곧 미드라는 불꽃에 휘발유를 끼얹은 ‘프리즌 브레이크’도 공중파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이것은 최근 ‘히어로즈’, ‘프리즌 브레이크’, ‘섹스 앤 더 시티’, ‘그레이 아나토미’ 같은 미드를 보지 않으면 대화에서 소외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는 미드의 수요를 방송사들이 읽은 것이다. 미드에 푹 빠진 이들은 우리 드라마가 시시해서 볼 수가 없다고 하는데, 우리 드라마가 좇아가지 못하는 대중의 트렌드를 미드의 어떤 면들이 사로잡은 것일까. 거기서 혹 우리가 배워야할 것이 있는 건 아닐..
-
세상을 향한 일침, 세태개그의 세계옛글들/명랑TV 2007. 5. 11. 23:37
같기도, 형님뉴스, 뭔 말인지 알지 운전을 하면서 거래처에 전화를 하고 한 손으로는 네비게이터를 조작하면서 또 한 손으로는 초조하게 담배를 태운다. 그 모습에 거침없이 들이대는 일침. “이건 운전하는 것도 아니고...” 그 한 마디에 웃음이 터져 나오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그렇게 쫓기듯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에 허탈해진다. 이거 원 사는 게 사는 건지. 문득 떠오르는 목소리. “사는 게 사는 것 다워야 사는 거지”. 자신을 그렇게 만든 그 누군가를 향해 살짝 성을 내본다. 그래봤자. 알아듣기나 하겠어? “뭔 말인지 알지? 몰라? 몰라? 뭐 될래?”답답한 마음을 그런 식으로 풀어본다. 세태를 풍자하는 이른바 세태개그는 개그가 시작된 이래부터 꾸준히 있어왔지만 최근 들어 좀더 생활에 밀착된 느낌이다. 그 이유는..
-
진실과 거짓 사이, 시청률이 있다옛글들/명랑TV 2007. 5. 11. 23:32
‘무릎팍 도사’, ‘일밤’ 왜 비판받나 이영자의 ‘가짜 반지 소동’은 리얼리티쇼 시대에 과다한 시청률 추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페이크 쇼(가짜를 진짜인 척 하는 쇼)의 문제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혹자들은 이 사소한 일처럼 보이는 소동이 왜 이렇게 시끄러운 지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른바 쇼는 쇼일 뿐인데, 왜 거기서 진실이냐 거짓이냐를 따지냐는 것이다. 일견 이러한 의견은 타당성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최근 들어 오락 프로그램들이 일제히 리얼리티쇼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면 이 문제의 핵심이 보인다. 우리는 이영자가 ‘경제야 놀자’란 쇼에서 과장되게 얘기한 사실이 엉뚱하게도 쇼와는 전혀 상관없는 이소라에게 악플로 나타났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이영자가 쇼의 재미요..
-
‘고맙습니다’가 우리에게 남긴 세 가지옛글들/명랑TV 2007. 5. 11. 01:31
자극 없고 악역 없는 고마운 드라마, ‘고맙습니다’ MBC 수목 드라마, ‘고맙습니다’가 종영했다. 이 드라마는 흔히 종영과 함께 ‘중독’이니 ‘금단현상’이니 하는 증상으로 아쉬움이 표현되는 강한 인상을 남긴 드라마들 속에 자리매김하게 될 것 같다. 시청률 전쟁에 자꾸만 자극적으로 변해 가는 드라마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본래 드라마의 가장 중요한 본질이었으나 잊고 있었던 ‘감동’을 끄집어내 준 고마운 드라마, ‘고맙습니다’. 그 아름다웠던 시간의 흔적이 남긴 여운의 의미를 되짚어보자. 자극이 아니어도 좋다 자극과 파행을 거듭하는 이른바 논란드라마들의 탄생목적은 명백히 시청률이다. 그것은 이미 공식이 되어버렸다. 쏟아져 나오는 드라마들 속에서 일단 시선을 잡아끄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고 그러기 위해 이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