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좋은 친구들'과 '괜찮아', 요즘 광수 달리 보인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7. 26. 09:19
코믹 캐릭터에서 개성파 배우로 거듭나고 있는 이광수 요즘 이광수가 달리 보인다. 을 통해 대중들과 익숙해진 캐릭터다. 베트남 등지에서 갑자기 확인한 인기에 ‘아시아 프린스’라는 닉네임이 붙기도 했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이광수는 거기에 대해 그다지 큰 의미를 두지는 않았던 것 같다. 예능으로 먼저 친근하게 다가왔지만 그의 발길은 늘 배우를 향해 걸어가고 있었으니까. 에 출연했을 때도 이광수를 만나면 이야기를 하거나 아니면 송중기에 대한 이야기를 묻는 것이 다반사였다. 늘 어눌한 목소리로 얘기하고 기린 캐릭터로 웃음을 주지만 그 누구보다 적지 않은 배우에 대한 열정을 속내 깊숙이 숨기고 있던 그였다. 그런 그이니만큼 최근 영화 에 이어 드라마 에서 그런 연기가 가능했을 것이다. 사실 에서 영화를 보기 전까지..
-
흥행돌풍 '군도'에 대한 반응 왜 양극단으로 나뉠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4. 7. 25. 09:52
, 민란을 웨스턴처럼 보는 즐거움 혹은 불편함 역대 최고 오프닝 기록을 갈아치우며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는 제목이 주는 선입견이 있다.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는 분명 우리가 처한 현실과 무관할 수 없다. 그것이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이라고 해도 그것이 상영되는 건 지금 현재 우리가 사는 이 곳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구나 지금의 막막한 현실이 투영된 것으로 ‘군도’와 ‘민란’이라는 단어를 읽게 된다. 실제로 영화가 갖고 있는 이야기 설정 또한 지금의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는 탐관오리가 등장하고 ‘정경유착’이 나온다. 그리고 지리산 추설이라는 의적들이 내뿜는 ‘세상을 바꾸자’는 목소리에도 현실의 울림이 들어가 있다. ‘뭉치면 백성 흩어지면 도적’이라는 반복되는 대사만..
-
시청자 배려 없는 일요예능 편성전쟁 이대로 괜찮나옛글들/명랑TV 2014. 7. 24. 12:17
일요예능, 편성보다 내용에 신경 쓸 순 없나 MBC 이 편성시간을 10분 또 앞당겼다. 그 이유는 KBS가 지난 20일 4시 10분에 방송을 시작한다고 고지해놓고 4시 3분에 시작하는 변칙편성을 했기 때문이란다. 사실 시청자들은 이제 누가 잘했고 잘못 했으며 그 원인 제공을 누가 했고 그래서 이런 변칙편성을 하게 됐다는 이야기는 그다지 관심이 없어졌다. 그도 그럴 것이 이 편성 전쟁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있는 건 다름 아닌 시청자들이기 때문이다. 그 어느 시청자도 거의 4시간에 달하는 주말 예능을 보기를 원하지 않는다. 영화 런닝 타임보다도 더 긴 시간이다. 과거 예능이 두 시간 남짓 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사실 3시간도 적지 않다. 그런데 4시간이다. 이건 결코 시청자를 배려하는 일이 아니다. 오로지 시청..
-
'유혹'이 묻는다, 당신의 관계는 안녕하십니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7. 23. 10:04
, 그것은 인간관계일까 거래관계일까 그것은 인간관계일까, 거래관계일까. 에서 3일에 10억을 제안한 세영(최지우)과 그것을 돈 때문에 수락한 석훈(권상우)의 관계는 그저 거래관계였을 뿐일까. 거래관계라면 일한만큼 대가로 돈을 받으면 그걸로 끝일 게다. 하지만 이 파격적인 제안 속에는 두 사람의 미묘한 감정이 뒤섞여 있다. 어린 시절 모래성을 쌓는 아이들을 보면 곧 무너질 걸 왜 쌓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는 세영. 그녀는 모래성 같은 사람 사이의 관계가 돈 앞에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가 하는 걸 석훈에게 보여주려 한다. 그런 세영에게 석훈은 되묻는다. 그렇게 아이들이 모래성을 쌓고 있을 때 세영은 무얼 하고 있었냐고. 무너질 모래성이 두려워 그저 옆에서 쳐다보고 있지 않았냐고. 무너지더라도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