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현
-
'세결여', 어째서 이지아 성형설만 부각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1. 12. 08:41
, 김수현 작가표 드라마의 한계인가 여전히 똑같다. 재벌가 사람들의 수다와 누가 누구와 결혼했고 이혼했으며 또 결혼하려 하는가 하는 이야기. 게다가 여전한 문어체 대사 어투는 마치 연극을 보는 것 같은 느낌으로 몰입을 방해한다. 물론 이 속사포로 쏟아지는 문어체 대사는 과거에는 그 누구도 흉내 낼 수 없는 김수현 작가표 명대사로 칭송되기도 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고 있다. 하소연이나 넋두리 같은 문어체 대사는 관찰 카메라로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가감 없이 찍어 보여주는 시대에는 어딘지 어색하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김수현 작가라는 이름 석자의 힘을 무시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번에는 어떤 메시지를 갖고 왔는지에 우선 이목이 집중된다. 는 제목이 담고 있는 것처럼 달라진 결혼관에 대한 담론을 담고 있다. ..
-
'해품달'과 조연에 대한 예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3. 25. 08:31
'해품달', 왜 뒷얘기가 무성할까 아쉬움 때문일까. 아니면 드라마 시청률이 40%를 넘겼다는 도취감 때문일까. 물론 드라마가 끝나면 거기 참여한 제작진이나 연기자들의 인터뷰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해를 품은 달(이하 해품달)'에서 유독 작가의 인터뷰가 눈에 거슬리는 건 왜일까. 또 40% 이상의 시청률을 낸 작품 치고 몇몇 주연들에게만 지나치게 쏠려 있는 스포트라이트도 이례적이다. 이 정도의 시청률이라면 거기 참여한 조연들에 대한 조명 역시 따라오는 게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김수현과 한가인을 빼고 나머지 조연들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없다. 물론 그럴 리는 없겠지만 이런 상황은 마치 의도된 것처럼 비춰진다. '해품달'의 마지막회에 남는 아쉬움은 결국 남녀 주인공인 훤(김수현)과 연우(한가인)의 해피엔..
-
'천 일', 추억과 시간에 관한 슬픈 사랑이야기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20. 09:17
'천 일', 얼마나 슬픈 얘길 하려는 걸까 "스토리는 신파지만 이 대목은 들을 때마다 내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아." 나비부인의 한 대목을 들으며 서연(수애)은 지형(김래원)에게 말한다. "신파 싫어하잖아." 지형의 물음에 서연은 스스럼없이 자신의 삶이 사실은 신파였다고 한다. 이 짧은 대화는 이 '천일의 약속'이라는 드라마를 말하는 듯하다. 신파? 신파면 어떤가. 그것이 우리네 인생의 비의를 고스란히 보여줄 수 있다면. '천일의 약속'에는 자주 인물들이 드라마에 나오는 상투적인 설정들을 언급한다. 서연은 지형과 감히(?) 결혼을 염두에 두지 않은 것이, 드라마에 상투적으로 등장하는 빈부 격차에 의한 부모들의 결혼 반대 같은 걸 찍고 싶지 않아서라고 한다. 향기(정유미)와의 결혼날짜가 정해지자 지형이 그..
-
중견작가들, 고료만큼 제 역할하고 있나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7. 16. 12:21
시청률이 만들어낸 막장, 왜 중견들이 쓰고 있나 임성한 작가의 '신기생뎐'은 막장의 차원을 넘어섰다. 그래도 '막장드라마'라고 하면 어떤 논리적인 흐름을 전제로 하여 거기서 벗어난 것을 말할 때 쓰는 말이다. 하지만 '신기생뎐'에는 어떤 논리적인 흐름 자체가 없다. 갑작스럽게 귀신이 등장하고, 빙의가 벌어지고, 심지어 눈에서 레이저광선을 쏘는 이 드라마는 드라마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TV를 켜면 우리의 눈에 노출되는 드라마는 최소한 공감을 전제로 해야 한다. 이 지극히 개인적이고 엽기적인 취향을 왜 우리가 봐야 하는가. 놀라운 건 이 작가의 회당 원고료가 보통 3,4천만 원에 이른다는 점이다. 이건 뭔가 열심히 작품을 쓰는 젊은 작가들에게는 저주에 가까운 얘기다. '작품? 써봐야 돈이 되지 않는다. 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