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드라마
-
'굿닥터' 주원은 어떻게 '용팔이'로 돌아왔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5. 8. 7. 08:49
착한 의사에서 속물 의사로, 가 그리는 세상 역시 주원은 의사가운이 잘 어울린다. 에서 자폐를 가진 서번트 증후군의 시온 역할에서 주원은 마음까지 보듬어주는 착한 의사의 모습을 보여줬다. 그 착한 의사라는 존재는 그래서 거꾸로 병원 조직에까지 스며든 권력 시스템을 에둘러 비판하는 인물로 부각되기도 했다. 하지만 새로 의사가운을 입은 에서 주원이 연기하는 김태현은 이런 착한 의사와는 거리가 멀다. 그는 돈을 준다면 어디든 달려가는 속물의사다. ‘용한 돌팔이’. 이것이 조폭들 사이에서 김태현이 용팔이로 불리는 이유다. 칼부림과 폭력이 일상화되어 있는 조폭 세계. 하지만 병원은 갈 수 없는 그들을 위해 용팔이는 어디든 왕진을 간다. 조폭들도 고귀한 생명이니 하는 의사 윤리의식 따위는 거기에 없다. 용팔이가 그..
-
'닥터 이방인'이 남북을 바라보는 불편한 시선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4. 6. 26. 08:17
, 권력에 미친 남한, 막연한 괴물 북한 이 드라마 참 낯설다. 이라는 제목이 주는 복합 장르적 뉘앙스 때문만은 아니다. 제목은 의학드라마와 남북 관계를 엮은 스파이 장르물이 혼재되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하지만 그런 정도의 장르의 혼재는 이제 대중들도 어느 정도는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문제는 이 드라마가 드러내고 있는 남한과 북한에 대한 낯선 시선이다. 은 명우대 병원이라는 공간을 폐쇄적으로 다룬다. 드라마는 이 명우대 병원을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병원이 수상하다. 우리가 현실에서 보던 병원과 사뭇 다르고, 또 의학드라마가 보여주던 병원과도 다르다. 어찌된 일인지 이 병원에서 환자들은 총리(사실은 대통령)를 수술할 팀을 뽑기 위한 테스트용으로 수술대 위에 눕혀진다. 박훈(이종석)이..
-
'마의', 무적의 조승우가 만든 너무 많은 문제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2. 27. 10:19
, 김혜선의 과잉 연기까지 나오는 이유 ‘마의가 인의가 된다’는 그 한 줄의 문구만으로도 는 꽤 괜찮은 기획이었다고 여겨진다. 거기에는 성장드라마가 있고 사극에 의학드라마가 겹쳐져 있으니 그 극성은 최고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의학드라마는 사람을 살리느냐 살리지 못하느냐는 상황으로 극적 갈등을 만들지만, 그것 때문에 의사가 목숨을 거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에서 백광현(조승우)은 숙휘공주(김소은)의 두창 때문에 목에 생긴 물집을 터트리기 위해 마침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목숨을 걸어야 했다. 생명을 살리기 위해 생명까지 걸어야 하는 것. 이것이 가 가진 사극과 의학드라마의 퓨전에서 생겨나는 극성이다. 하지만 이런 좋은 기획의도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는 그다지 극성이 높여지지 않고 있다. 이..
-
외과의들, 조선으로 간 까닭은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3. 1. 17. 10:03
사극과 의드의 만남, 그 진화의 계보학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 ‘몸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함부로 훼손할 수 없다는 에 실린 공자의 말은 동양의학에서 외과의 영역을 위축시켰다. 칼로 째고 바늘로 꿰매는 외과술은 이 효를 근간으로 하는 동양의 가치관과 부딪치면서 좀체 빛을 보지 못했던 것. 하지만 드라마는 사정이 조금 다른 것 같다. 사극과 의학드라마라는 두 장르의 결합이 만들어내는 강력한 극성 때문에, 최근 사극은 과거에는 좀체 존재하지 않았던 외과의에 주목하고 있다. 에서 백광현(조승우)은 뼈가 썪어 가는 부골저를 치료하기 위해 스승인 고주만(이순재)의 뇌수술을 감행했다. 머리에 구멍을 뚫고 그 병변에 직접 약재를 투입했던 것. 하지만 파상풍 부작용에 의해 스승이 죽게 되자 도망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