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
-
조치겸, 영조, 최강국 그들의 공통점옛글들/명랑TV 2008. 2. 27. 00:31
주연보다 센 카리스마의 조연들, 그 이유 ‘왕과 나’의 조치겸(전광렬), ‘이산’의 영조(이순재), 그리고 ‘뉴하트’의 최강국(조재현)은 어떤 공통점을 갖고 있을까. 그들은 모두 각각의 드라마를 이끌어 가는 힘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조치겸은 우리네 사극 속에 권력형 내시라는 새로운 캐릭터로 특유의 카리스마를 선보였다. ‘이산’의 영조는 주인공인 이산을 위기에 빠뜨리기도 하고 또 구원해주기도 하면서 지금껏 드라마의 힘을 만들어온 사실상의 주역이었다. ‘뉴하트’의 최강국 역시 마찬가지. 그는 지금껏 이 흉부외과에서 벌어지는 대부분의 사건들을 정리하는 해결사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이들은 진정한 의미로 드라마의 주인공은 아니다. 주인공이 아니면서 왜 드라마는 이런 캐릭터들을 필요로 할까. 성장하는 주인공의 멘..
-
이젠 작가가 그 사극을 말해준다옛글들/명랑TV 2008. 2. 19. 21:32
퓨전사극시대, 작가로 즐기는 사극 최근 드라마 중 사극만큼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 건 없을 것이다. 이것은 과거 정사 위주의 정통사극의 틀에서 벗어나면서 가능해진 일. 이른바 퓨전사극은 역사적 사실, 혹은 역사적 텍스트에 상상력을 덧대, 사극의 외연을 넓히는 역할을 했다. 이제 사극은 어떤 역사적 시점을 다룰 것인가 보다 어떻게 다룰 것인가가 더 중요해졌다. 사극의 작가주의가 거론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제 사극은 작가들의 상상력과 감독의 연출력에 의해 그 색채를 달리하게 되었다. 이병훈표 성장 사극, ‘이산’ 월화의 밤을 평정한 MBC 사극 ‘이산’은 이병훈표 사극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다. 매 2회 정도 분량으로 주어지는 미션과 해결을 통한 캐릭터의 성장을 그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전형적인 선악구도..
-
‘이산’이 그리는 건 영조인가 정조인가옛글들/명랑TV 2008. 2. 12. 01:44
퓨전사극 속 카리스마 이양이 어려운 이유 ‘이산’이 시작한 지 벌써 42회가 지났다. 사실상 연장이 확정된 상태라 앞으로 20여 회 이상이 더 남았지만 그래도 드라마의 3분의 2를 이산이 양위조차 받지 못한 상태로 그리고 있는 것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정조 즉위 당시 걸출한 인물들이 많은데다, 이들이 한 업적 또한 상당하고, 또한 그 과정에서 숱한 드라마적인 이야기들이 나올 가능성이 많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껏 ‘이산’이 보여주고 있는 이야기구조는 ‘암살위기-극적모면’이라는 단순구조로 반복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혹자는 이것을 가지고 ‘이병훈 PD식 사극’의 장점이자 단점이라 할 것이다. ‘이병훈 PD식 사극’이란 ‘허준’과 ‘대장금’을 통해 반복되어 왔듯이, 무한반복되는 미션과 미션해결과정을..
-
‘이산’과 ‘왕과 나’의 멜로 비교옛글들/명랑TV 2008. 1. 29. 13:08
사극이 사랑을 그리는 방식 사극이 사랑에 빠졌다. ‘이산’의 이산(이서진)과 성송연(한지민)이 그렇고, ‘왕과 나’의 성종(고주원)과 어을우동(김사랑) 그리고 윤소화(구혜선)가 그러하다. 그런데 똑같은 사랑이지만 그 양상은 사뭇 다르다. 사극과 만나 빛을 발하고 있는 멜로라고 해도 어떤 것은 호평을 받고 어떤 것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섬세한 사랑, ‘이산’ 이산과 성송연의 사랑은 가까이 앉아 속삭이는 사랑이 아니다. 그것은 궁 하나를 두고 있는 거리에서의 사랑이며, 세손과 다모라는 신분이 말해주는 거리에서의 사랑이기도 하다. 둘이 가까워지는 것을 저어한 혜경궁홍씨(견미리)에 의해 심지어 성송연은 그것도 모자라 이역만리 청국으로까지 보내진다. 이렇게 먼 거리를 두면서 그들은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