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
버라이어티쇼, 리얼과 가상사이 길을 잃다옛글들/명랑TV 2008. 11. 26. 01:48
리얼과 가상 사이, 줄타기하는 버라이어티쇼 특정 상황을 던져놓고 대본 없이 다채로운 웃음을 만드는 것을 리얼 버라이어티쇼라고 정의한다면 이것은 그 효시라 일컬어지는 '무한도전'이 탄생하기 한참 전부터 이미 존재한 형식이라 해야 할 것이다. '명랑운동회'같은 게임을 하는 버라이어티쇼가 그것이다. 거기에는 짜여진 대본은 없지만 주어진 상황(게임종목)이 있고 그 상황은 자연스런 몸 개그를 유도해내면서 큰 웃음을 유발한다. 여기 출연하는 연예인들이 당대에는 스타라는 이름에 걸맞는 신비주의를 구비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화려한 의상을 벗어던지고 똑같은 운동복을 걸친 채 사정없이 엎어지고 구르는 그 모습은 대단한 파격이라 할 것이다. 리얼 버라이어티, 무엇이 리얼하다는 것일까 따라서 위의 정의는 틀렸다. 우리가..
-
김종국, 패밀리가 아닌 손님으로 남은 이유옛글들/명랑TV 2008. 10. 29. 14:26
고정이냐 게스트냐, 예능 멤버를 바라보는 두 시선 김종국은 결국 ‘패밀리가 떴다’의 손님으로 남게 됐다. 장혁재 PD는 현재의 멤버들 간의 팀웍이 좋고 다양한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팀 구성이라며 김종국의 패밀리 영입설을 일축했다. 지난 ‘패밀리가 떴다’에 출연한 김종국을 두고 벌어진 고정이냐 게스트냐는 양 갈래의 시선 중 ‘패밀리가 떴다’는 결국 전자의 손을 들어준 셈이다. 물론 김종국 스스로도 먼저 “당장은 가수활동에 더 충실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니 김종국의 ‘패밀리가 떴다’ 출연은 애초부터 게스트에 더 힘이 실렸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종국을 두고 벌어진 이 고정과 게스트에 대한 반응은 예능 멤버를 바라보는 두 시선을 드러내준다. 재미와 식상, 강화된 캐릭터, 팀웍의 이중성 집단 MC체제의 리..
-
여행 버라이어티, 재미만 추구해도 될까옛글들/명랑TV 2008. 10. 13. 11:43
삶의 현장에서의 재미는 의미가 담보되어야 한다 ‘체험 삶의 현장’이 2001년부터 무려 7년이 넘게 장수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그 첫 번째는 이 프로그램만이 갖는 독특한 재미에 있다. ‘삶의 현장’은 여행지와는 성격이 약간 다르다. 그것은 시골이 될 수도 있고 도시가 될 수도 있다. 즉 장소를 불문하고 땀흘리는 일터가 바로 그 현장이 된다. 예를 들면 병어잡이를 하러 배를 타는 어부들의 현장이나, 동물원 사육사들의 현장 같은 것이다. ‘체험 삶의 현장’이 장수할 수 있는 이유 이런 체험은 일반인들이 여행 같은 것을 통해 쉽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시청자를 대리하여 체험하게 되는 출연자들 역시 마찬가지. 시청자들이 흔히 체험할 수 있는 보통 여행지와 체험하기 어려운 삶의 현장 그 중간을 이..
-
‘야심만만2’, 방송사를 넘어 예능을 껴안다옛글들/명랑TV 2008. 10. 7. 09:22
방송사를 넘나드는 예능인들의 각축장, 예능선수촌 ‘야심만만2’가 ‘예능선수촌’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말 그대로 예능의 선수들을 끌어 모아 마치 스포츠처럼 예능 대결을 선보이겠다는 의지가 그 속에는 깃들여 있다. 이 프로그램에 고정MC로 강호동, MC몽의 KBS‘1박2일’ 라인과 , MBC의 ‘무한도전’의 전진, ‘우리 결혼했어요’의 서인영 그리고 SBS ‘패밀리가 떴다’의 윤종신이 함께 자리한 것은 그 때문이다. 물론 이들 중 몇몇은 타 방송국의 프로그램에도 출연하지만, 적어도 그들이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프로그램은 위에 언급한 것들이 분명하다. 예능판 ‘온에어’? 이런 의도는 ‘야심만만2’의 기획의도에 예능판 ‘온에어’라는 문구로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다. 즉 방송의 뒷얘기(이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