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드라마 곱씹기
-
6월 쏟아지는 전쟁드라마, 그 성패는?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6. 8. 07:26
'전쟁드라마', 국책성인가, 새로운 소재의 발굴인가 올해로 6.25가 60주년을 맞이한다. 그래서일까. 올 6월에는 전쟁 콘텐츠들이 대거 쏟아져 나올 예정이다. MBC가 새 수목드라마로 한국전쟁을 다룬 '로드 넘버 원'을 방영할 예정이고, KBS는 1970년대 인기 드라마였던 '전우'를 리메이크해 방영한다. 또 한국전쟁 당시의 학도병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포화속으로'가 6월에 개봉된다. 한편 곽경택 감독의 신작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아름다운 우리'도 곧 제작을 앞두고 있는데, 이 작품은 제2차 연평해전을 소재로 하고 있다고 한다. 아무리 60주년이라고는 하지만 과거와 달리 전쟁 콘텐츠들이 갑자기 쏟아져 나오는 진짜 이유는 뭘까. 대외적으로는 두 가지 이유가 제시되고 있다. 그 하나는 역시 6.25..
-
'신데렐라 언니', 무엇이 우리의 영혼을 울렸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6. 4. 06:43
'신데렐라 언니', 희생과 용서의 드라마 '신데렐라 언니'가 전한 감동에는 그저 '슬프다', '기쁘다' 같은 표현으로는 담지 못할 그 무언가가 있다. 누구든 바라보면서 그 몇 줄의 대사를 듣기만 하면 속절없이 흘러내리는 눈물을 감당 못하게 만드는 그 감동의 실체는 뭘까. 대성도가의 주인 구대성(김갑수)이 거실 벽면에 붙여놓은 가훈, '역지사지(易地思之)'처럼, 신데렐라 이야기를 언니의 입장에서 풀어낸 그 스토리 때문에? 물론 이것이 표면적인 '신데렐라 언니'의 이야기지만 그것만으로 심지어 영혼을 건드리는 듯한 그 눈물의 실체를 모두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신데렐라 언니'는 여러 차원의 눈물들을 만들어내지만 그 중심에 서 있는 단 한 명의 인물이 있다. 그것은 주인공인 은조(문근영)도 아니고 신데렐라..
-
별 일 없이 사는 게 과연 사는 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6. 3. 09:14
'나는 별 일 없이 산다'가 던지는 질문 "살려고 그런 단 말야. 나도 살아야할 거 아냐!" 드라마 '나는 별 일 없이 산다'에서 황세리(하희라)는 늘 삶에 사기당하며 살아온 자기 신세를 한탄하며, 이제 자신이 누군가를 사기 쳐야 하는 이유로, '그래도 살아남아야 함'을 든다. 한편 나이 칠순에 접어든 신정일(신성일)은 "구차하게" 살아야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 그의 삶은 집사람이 떠나면서 그 의미를 잃었다. 한 사람은 그저 관성적으로 살아남으려 하고, 다른 한 사람은 살 이유를 찾지 못하지만, 사실 두 사람의 정조는 같다. 의미 없는 삶. 그들은 '별 일 없이 사는' 사람들이다. 그런 그들 앞에 갑자기 동네 깡패가 나타나 위협을 한다. 쌍팔 년도 멜로에나 등장할 전형적이고 상투적인 시퀀스. 하지만, 겉..
-
'인생은 아름다워'는 동성애 드라마가 아니다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0. 5. 25. 14:26
가족드라마의 틀 속에 동성애도 있는 것 최근 보수적인 성향의 한국교회언론회는 "동성애 미화, 사회를 병들게 한다'는 논평을 통해 '동성애를 미화하는 TV프로그램의 방영은 동성애에 대한 동정심을 넘어 심각하게 비호하는 측면이 있다."는 논평을 냈다. 또 기도운동단체인 에스더 기도운동도 최근 회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이대로 TV드라마를 방치한다면 이 땅의 많은 청소년에게 동성애는 아름다운 것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시청거부운동을 촉구했다고 한다. 직접적으로 프로그램을 지목하진 않았지만 최근 종영한 드라마 '개인의 취향', 그리고 현재 방영되고 있는 김수현 작가의 '인생은 아름다워'에 등장하는 동성애자를 지목한 것일 게다. 특히 그중에서도 '인생은 아름다워'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폭발적이다. 이 드라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