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명랑TV
-
'런닝맨', 도구를 보면 진화가 보인다옛글들/명랑TV 2012. 9. 13. 08:08
'런닝맨', 그 게임도구의 진화과정 단순해보였던 의 이름표는 끝없는 진화를 거치면서 이 실전게임에 엄청난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처음에는 그저 떼어지면 죽음을 의미하는(?) 한 출연자의 생명을 의미했지만, 그 뒤에 스파이를 붙이자 게임은 복잡해졌다. 또 커다란 이름표와 작은 이름표로 둔갑하면서 생존가능성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기도 했고, 떼도 떼도 또 이름표가 있는 식의 이른바 좀비 이름표도 생겼다. 때론 ‘반사’의 의미로 뗀 사람을 오히려 죽게 만드는 기능으로 변신하기도 했다. 이름표 하나가 보여주는 이런 무수한 변화들은 이 달려온 길을 잘 말해준다. 게임의 진화. 이라는 놀라운 예능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말이 아닐까. 이런 도구의 진화는 물총도 마찬가지다. 오래도록 장전해서 쓸 수 있지만 노출되기 쉬운..
-
'1박2일', 이 촌스러운 예능이 사는 법옛글들/명랑TV 2012. 9. 11. 08:55
투박한 맛, 만의 경쟁력 시즌2가 점점 제 궤도를 찾아가고 있다. 시즌2 초반 멤버가 교체되고 제작진도 바뀐 데다가 마침 파업의 여파를 겪으면서 흔들대던 모습과 비교해보면 현재의 은 확실히 안정되었다. 시즌1과 비교하면서 전체를 이끌어가는 강한 카리스마가 느껴지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었고, 나영석 PD와 비교하며 제작진이 너무 착해서 연기자와의 팽팽한 각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었다. 하지만 어찌 보면 새로운 체제를 굳힌 시즌2는 애초부터 시즌1이 될 수는 없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시즌1과의 비교점이 자꾸만 나오게 되는 것은 당연하게도 바뀐 체제에서 시즌1만큼의 재미를 느낄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차츰 시즌2의 멤버들이 캐릭터를 잡아가기 시작했고, 제작진도 좀 더 프로그램 속으로 들어오게 되..
-
송혜교는 왜 그토록 쓸쓸했던 걸까옛글들/명랑TV 2012. 9. 9. 08:42
송혜교, 16년차 여배우의 성장통 송혜교가 이라는 책을 냈다. 화보집에 가깝지만 그 안에는 그간 밝히지 않았던 자신의 이야기와 소회 같은 것들이 마치 일기처럼 담담하게 담겨져 있다. ‘원래 잠이 많은 여자’라거나 곧바로 밥벌이를 시작해서 사춘기를 겪지 않았고 그래서 장래희망도 별로 없던 아이였다는 이야기, 대중들이 기억하는 이미지와 달리 자신은 귀엽지 않다거나 토종입맛이고 요리 몇 개쯤은 할 줄 알며, 음식 먹는 걸 즐기지만 여배우로서 다이어트 때문에 고민이라는 그런 자잘한 이야기들... 물론 연기자로서의 욕심을 드러내는 이야기들도 있다. 타고난 노련함이 없는 탓에 노력을 더 해야 하는 스타일이라거나, 타고난 연기자는 아니지만 감정을 흡수하는 재능은 있다며 자신을 다독이기도 한다. 또 그런 감정 표현들이..
-
유재석 토크쇼의 위기, 어디서 왔나옛글들/명랑TV 2012. 9. 7. 09:45
와 , 그 위기의 원인은 유재석의 MC로서의 최대 강점은 게스트들의 캐릭터를 뽑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예능에 있어서는 거의 무명에 가까운 배우들이나 가수들조차 유재석이 캐릭터로 발굴한 예는 부지기수다. 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박미선은 대표적인 사례다. 자신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고 오히려 게스트들을 앞으로 끌어내는 그의 토크 방식은 그래서 그를 배려의 아이콘으로 만들었다. 이런 특성은 그대로 토크쇼에 묻어났다. 와 는 약간의 형식적인 차이들이 존재하지만 유재석의 이런 특징이 깔려있다는 점에서 그 토크쇼의 본질은 유사하다. 모두 게스트를 편안하게 해주고 부각시켜주는 ‘긍정의 토크쇼’인 셈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른바 유재석 토크쇼가 흔들리고 있다. 는 최근 400회 특집(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