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블로거의 시선
-
'우리 집에 왜 왔니', 텅빈 그 집에 가보니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4. 21. 17:27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봄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 한낮의 극장 풍경은 꽤 낯설기 마련이죠. 텅빈 극장 안 곳곳을 채우고 있는 습기 젖은 먼지 냄새, 아무도 없는 그 거대한 공간 속에 혼자 앉아 있다는 스산함 혹은 음산함, 그리고 압도적으로 커보이는 스크린과 압도적으로 비어있는 객석의 대비가 주는 묘한 쓸쓸함까지... 영화를 얘기하려고 하면서 이런 극장풍경을 주절대고 있는 건, '우리 집에 왜 왔니'란 영화가 바로 이 극장의 풍경과 서로 닮아있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가끔 그런 경험이 있지만 '우리 집에 왜 왔니'를 보던 날은 비가 왔고 극장은 텅 비어 있어 저 혼자 그 거대한 공간을 차지하고 앉았더랬습니다. 이 영화가 공포영화였나? 죽은 수강(강혜정)의 사체를 근접촬영으로 보여주는 첫 장면에서 이런 생각..
-
'똥파리', 욕설 들으며 감동 먹긴 처음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4. 18. 10:59
양익준 감독의 '똥파리' 리뷰를 이미 썼지만 어딘지 미진함이 많이 남네요. 그 미진함의 아쉬움이 다시 자판 앞에 저를 앉게 만듭니다. 사실 이 영화 그다지 기대하고 보진 않았습니다. 낮 시간에 마트에 잠깐 들렀다가 시간이 남아서 찾아간 극장에 마침 걸려있던 영화라 무심코 들어갔던 것뿐이죠. '워낭소리'와 '낮술'로 인해 높아진 독립영화에 대한 관심이 저를 그 영화로 이끈 것은 아닙니다. 그 작품들이 아니더라도 늘 저는 독립영화에 관심이 있었으니까요. 영화관에는 낮이어서인지(낮시간 치고는 꽤 많은) 대부분 아줌마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저기 그저그런 일상적인 수다들을 떨면서 불이 꺼지기만을 기다렸죠. 이윽고 불이 꺼지고 시작된 영화는 첫 장면부터 욕이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지는 주먹질과 발길질...
-
‘미워도 다시 한번’, 그 복잡한 가계도, 왜?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4. 17. 16:17
우리 드라마, 그 임신 권하는 세상이 말해주는 것 드라마 ‘미워도 다시 한번’의 가계도는 실로 복잡하다. 명진그룹 회장인 한명인(최명길)은 같은 회사 부회장인 이정훈(박상원)과 부부이고 그 사이에 아들 이민수(정겨운)를 두고 있다. 그런데 이민수는 이정훈의 친아들이 아니다. 한명인의 첫사랑의 소산이다. 한편 이정훈과 내연관계에 있는 은혜정(전인화)은 그와의 사이에 딸 수진(한예인)을 두고 있는데, 사실은 숨겨진 딸 최윤희(박예진)이 하나 더 있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그녀가 한명인의 며느리로 들어오면서 관계가 복잡해진다. 이정훈을 사이에 두고 한명인과 은혜정은 서로 치열한 대결을 벌이고 있는데, 최윤희의 존재는 이 둘 관계를 나락에 빠뜨린다. 최윤희의 시어머니인 한명인이 죽기살기로 대결을 벌이는 이가 자신..
-
‘아내의 유혹’그녀들, 월경전증후군 있나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4. 10. 12:18
짜증, 급격한 기분 변화, 걱정, 긴장, 슬픔, 우울감, 절망, 자괴감, 죄책감, 격정, 흥분, 민감함, 갈등, 무력감, 집중력 저하... 월경전증후군의 많은 증상들을 읽어나가면서 문득 떠오른 드라마가 있다. 바로 하루가 멀다하고 막장이네, 끝장이네 하며 구설수가 끊이지 않는 드라마, ‘아내의 유혹’이다. 왜 난데없이 월경전증후군이고 또 거기에 ‘아내의 유혹’인가를 묻는다면 딱히 할 말은 없다. 다만 그것들이 꽤 닮아있고 그 닮은 구석에는 모종의 사회적 분위기가 일조하고 있다는 의심 때문이라고 해두자. 남자 입장이라서 생리가 주는 일상의 고통을 정확히 가늠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매달 치러야 한다는 그 수고스러움을 미루어 짐작할 수는 있다. 그런데 월경전증후군은 바로 그 매달 치러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