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나는 청중이다, '나가수'의 진면목옛글들/명랑TV 2011. 11. 3. 08:52
'나가수', 문제도 해법도 청중에게 있다 '나는 가수다'는 가수의 무대일까, 청중의 무대일까. 가수의 정체성을 묻는 제목을 보면 마치 이 무대가 가수가 주인공인 무대처럼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나는 가수다'는 철저히 청중과 대중이 주인공인 무대다. 이 무대가 특별한 것은 가수들보다는(그렇다고 그들이 특별하지 않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청중들 덕분이다. 아주 미세한 숨소리까지 긴장하며 들어주는 청중이 있기 때문에 가수들은 더 긴장하고 자신의 전력을 다하게 된다. 게다가 이 가수들은 지금껏 TV를 통해서는 '들어주는 귀'가 별로 없던 가수들이다. 그러니 이런 청중이 있는 무대가 주는 힘은 실로 크다고 할 수 있다. 제 아무리 가창력이 좋은 가수라고 해도 '들어주는 귀(이것은 양적인 문제가..
-
연예인 토크쇼 지겨워? '안녕'을 보라옛글들/명랑TV 2011. 11. 2. 09:10
'안녕', 토크쇼도 이제 일반인 출연 트렌드? '안녕하세요'에는 '대국민 토크쇼'라는 거창한 수식어가 붙어있다. 이 토크쇼는 물론 연예인들이 MC로 앉아있고, 연예인 게스트도 있지만 그들이 주인공은 아니다. '대국민 토크쇼'라는 수식에 걸맞게 이 토크쇼의 주인공은 일반인들이다. '전국고민자랑'이라는 코너는 특별한 사연들을 가진 일반인들이 자신들의 고민을 토로하는 장이다. 연예인들은 그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함께 웃고 공감해주는 것으로 그들의 소임을 다한다. 일반인들이 주인공인 만큼, 그들에게 낯설 수 있는 스튜디오에는 그들을 좀 더 편안하게 해주려는 배려가 묻어난다. 일단 일반인들이 보내준 고민에 대한 사연을 MC가 맛깔나게 읽어주고 나서 기대감을 갖게 한 후, 출연자는 마치 놀이터에 들어오는 것처럼 미끄..
-
정글에서도 웃을 수 있는 이유, 김병만옛글들/명랑TV 2011. 11. 1. 08:38
'정글의 법칙'과 김병만의 법칙 이것은 진짜 야생이다. 그저 하룻밤 길바닥에서 잠을 자는 그런 것이 아니다. 아프리카 오지, 악어가 출몰하고 뱀이 지나다니는 그 곳에서 집도 없고 텐트도 없고 먹을 것도 없이 살아남아야 한다. 이것이 '정글의 법칙'이 보여주는 야생이다. 제 아무리 야생에 익숙한 서바이벌 전문가라고 해도 얼굴이 굳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김병만이 말한 것처럼 이건 동물원 우리 바깥에서 안을 보는 게 아니라, 우리 안에 들어와 있는 것. 실제로 이 악어섬에 들어온 첫 날, 이들은 그 날카로워진 심경을 드러냈다. 김병만과 리키 김은 의견 충돌이 생겼고, 광희는 너무 힘겨운 상황에 웃음을 잃었다. 류담은 그 육중한 몸을 이끌고 허기에 지친 모습이 역력했다. 이런 상황에서 예능이 가능할까. 아..
-
'뿌리', 이토록 인간적인 왕이라니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0. 29. 11:04
'뿌리', 자신과 싸워야했던 고독한 군주의 초상 '뿌리 깊은 나무'가 그리는 세종은 대단한 파격이다. 욕쟁이에, 똥지게를 지고, 개소리를 연구하는 왕. 게다가 어린 시절 아버지 이방원(백윤식)의 피의 정치를 보고 자라며 갖게 된 트라우마는 그를 정신분열의 상태로까지 몰아넣는다. 세종(한석규)이 젊은 세종(송중기)과 논쟁을 벌이는 이 셰익스피어 희곡 같은 장면은 이 왕의 깊은 내상을 밖으로 드러낸다. 아버지와는 다른 정치를 하려 했으나 그것이 얼마나 이상적이고 힘겨운 것인가를 실감하며 절망하는 세종의 내면이 이 장면에 압축되어 있다. 도대체 이 왕은 무엇이 그리도 괴로운 걸까. 일찍이 마방진 에피소드에서 상징적으로 제시되었듯이 세종은 왕 하나만을 남기고 필요하면 모두 제거해버리는 아버지 태종의 패도정치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