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복귀 강호동, 옛 명성 찾을 수 있을까옛글들/명랑TV 2012. 11. 10. 10:59
방송 3사 강호동 모시기가 의미하는 것 강호동이 돌아온다. 벌써부터 지상파 방송3사에는 전운이 감돌고 있고 예능가도 강호동 복귀에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갑작스레 잠정은퇴를 선언함으로써 생겨난 커다란 공백으로 방송3사의 예능이 휘청했던 사실이다. MBC는 가 폐지되었고 그로 인해 을 하나로 버텨내야 하는 힘겨운 상황을 맞이했고, KBS는 의 시즌2를 준비해야 했으며, SBS는 을 이승기 단독MC 체제로 이끌어 나가야 했다. 또 은 강호동이 빠져나간 후 시청률이 반 토막 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러니 그의 복귀 또한 그만한 변화와 파장을 몰고 올 것이 분명하다 지상파 3사가 여기는 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가장 먼저 출연을 확정 지은 건 SBS다. 사실상 잠정은퇴를 하고 있는 동안..
-
'SNL 코리아'의 패러디가 불편한가옛글들/명랑TV 2012. 11. 9. 09:16
왜 패러디를 패러디로 못볼까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 특정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익살스럽게 변형하거나 개작하는 수법.’ 다소 문학적인 틀에 갇혀 있던 이러한 패러디의 고전적 의미는 현대에 들어서는 다양한 영상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표현기법 중의 하나가 되었다. 표절과 헷갈리는 부분이 있지만 가장 큰 차이는 원본이 전면에 드러나느냐 아니냐다. 알다시피 패러디는 원본이 있다는 것을 수용자가 인지해야 가능한 기법이다. 을 같은 서체로 이라고 쓰고 그 형식을 가져오면 누구나 그것에서 이라는 원본을 떠올릴 수 있다. 따라서 패러디에서 원본은 늘 전면에 내세워진다. 반면 표절은 늘 원본을 숨긴다. 그저 가져다 도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본이 드러나지 않기 위해 교묘하게 위장술을 펴는 것. 그것이 바로 표절이다..
-
싸이는 왜 광장과 잘 어울릴까옛글들/명랑TV 2012. 11. 8. 08:12
싸이는 광장스타일 파리 에펠탑이 보이는 트로카데로 광장에 싸이가 등장하자 운집한 2만여 군중들은 일제히 환호를 질렀다. 싸이는 많은 말을 하지는 않았다. 그저 “내 이름이 뭔지 아느냐”고 물었고 그러자 군중들은 “싸이”를 외쳤다. 싸이의 인기를 실감하게 하는 대목이다. 그리고 바로 “준비 됐느냐”고 물은 후 음악에 맞춰 ‘강남스타일’을 불렀다. 펄쩍펄쩍 뛰며 말춤을 출 때는 광장 전체가 들썩거렸다. 그는 자신이 좀 더 잘 보일 수 있는 광장 계단쪽으로 올라가 한 번 더 ‘강남스타일’을 부르며 군중들과 손발을 맞췄다. 경사진 난간은 위험해보이기도 했지만 싸이는 아랑곳없이 그 위에 올라가 어깨춤으로 말춤을 소화해냈다. 그걸 본 군중들은 더 신이 나 손을 흔들어대며 함께 말춤을 추었다. 이것은 인터넷에 이미 ..
-
'힐링캠프'는 되고 TV토론은 안 되고, 왜?옛글들/네모난 세상 2012. 11. 7. 08:27
유력 대선 후보들의 TV토론이 필요한 이유 박근혜와 문재인이 출연했을 때, 는 마치 대선캠프나 된 것처럼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보통 6%에 머물던 시청률이 12%, 10%를 넘어섰다. 놀라운 수치지만 당연한 일이었다. 대선 후보로 지목되던 박근혜는 그간 너무 침묵으로 일관해왔기 때문에 그 진면목을 보고 싶다는 대중들의 열망이 있었고, 문재인은 여기저기서 박근혜의 대항마로 지목되는 야권 후보였지만 대중들에게는 덜 알려진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또 안철수는 대선에 출마할 것인가 말 것인가가 대중들에게는 초미의 관심사였다. 물론 라는 예능 프로그램의 한계는 분명히 있었다. 문재인은 개인적이고 사적인 질문에도 정치적인 입장을 드러낸 반면, 박근혜는 정치적인 질문에조차 지극히 상식적인 답변으로 일관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