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지붕 뚫고 하이킥’, 그 망가짐의 미학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9. 09:02
이순재에서 해리까지, 망가질수록 빛나는 그들 연기자가 가장 빛나는 지점은 언제일까. 그것은 연기자 자신이 아닌 캐릭터에 몰두할 때이다. 그래서일까. 연기자들이 여지없이 망가지는 바로 그 순간, 그들이 가장 빛나게 되는 것은. ‘지붕 뚫고 하이킥’은 시트콤이 가진 특성상 연기자들의 망가짐이 빈번할 수밖에 없다. 어찌 보면 시트콤 같은 코믹 장르가 가진 웃음은 기존 이미지의 전복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혀 그러지 않을 것 같은 인물이 정반대의 행동을 했을 때, 시트콤은 드디어 큰 웃음을 주게 된다. ‘지붕 뚫고 하이킥’에서 이 ‘망가짐의 미학’을 솔선수범해 보여주는 인물은 이순재다. 칠순의 나이에 손발이 오그라드는 멜로 연기에 어찌 창피함이 없었을까. 하지만 그는 김자옥을 위한 이벤트를..
-
‘천만번 사랑해’, 그 고전적 스토리가 가진 힘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9. 09:00
‘천만번 사랑해’, 심청 모티브? 신데렐라 이야기? 모성애! ‘천만번 사랑해’는 여러 가지 이야기의 모티브들이 겹쳐져 있다. 그 첫 번째 이야기의 모티브는 우리네 고전 중의 고전, ‘심청전’이다.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 인당수에 몸을 던지는 심청이처럼, ‘천만번 사랑해’의 고은님(이수경)은 갑자기 쓰러진 아버지의 수술비를 벌기 위해, 대리모를 자청한다. 자살을 택하는 것이 비윤리적인 것이지만 그것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심청이의 정당성을 만들어주는 것처럼, 대리모의 비윤리성은 아버지의 목숨을 위한 것이라는 사실이 고은님의 정당성을 만들어준다. 결국 아버지는 살려내지만, 자신의 살을 베어낸 것 같은 대리모의 아픔은 고은님에게 천형처럼 남는다. 스스로 ..
-
‘수상한 삼형제’, 그 수상한 행보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8. 10:06
수상한 게임을 시작하는 ‘수상한 삼형제’ ‘수상한 삼형제’가 수상하다. 시작 전부터 문영남 작가라는 아우라 때문에 또 다른 막장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생각과는 달리 꽤 긍정적인 에너지가 넘쳐흘렀다. 특히 남자친구에게 일방적으로 차인 주어영(오지은)이 김이상(이준혁)을 통해 다시 생기를 찾는 모습은 이 드라마의 밝은 행보를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역시 본색은 버릴 수 없는 것일까. ‘수상한 삼형제’는 서서히 그 수상한 행보를 보이면서 시청자들 사이에 논쟁마저 일으킬 정도로 강한 설정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주어영과 삼 년을 연애하다 차버리고는, 그녀가 김이상과 가까워지게 되자 질투를 느끼고 그 사이에 다시 끼어들게 되는 왕재수(고세원)는 이름처럼 왕재수다. 드라마 속의 삼각관계라..
-
아이돌이 궁금해? 고미남에 빠져봐!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09. 11. 6. 06:21
'미남이시네요', 그 비현실적 세계가 보여주는 현실 '미남이시네요'에서 고미남의 어투는 비현실적이다. "-다", "-까?"로 끝나는 그의 말투는 남장여자라는 설정 때문인지 군대식 어투를 그대로 빼닮았다. 처음 이 드라마를 접하는 이들은 아마도 그 어투가 거슬렸을 것이다. 하지만 재미있는 건, 이 어투를 계속 듣다보면 거기에 어느 정도 적응이 되고 심지어 그 어투가 어떤 묘미까지 주는 묘한 중독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 지점에서 다시 돌아보면 고미남의 비현실적 어투는 이 드라마를 보기 위한 마치 하나의 훈련과정처럼 여겨진다. 이 어투가 적응되는 순간부터 당신은 '미남이시네요'의 세계 속으로 깊이 들어와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고미남의 어투가 비현실적인 것처럼 '미남이시네요'는 비현실적인 세계를 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