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시사기획쌈'이 보여준 낙태라는 폭력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13. 01:28
세상 어느 엄마가 저 스스로 낙태를 선택할까. 낙태라는 선택에는 반드시 외부적인 강요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직접적인 것일 수도 있고 암묵적인 사회적 분위기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것이 어떤 것이든 그 강요되는 폭력이 주는 상처는 태아에서만 멈추지 않는다. 낙태를 선택한 엄마들에게 그 상처는 때론 지울 수 없는 후회가 되기도 한다. '시사기획 쌈'의 편이 조명한 것은 부지불식간에 조성된 낙태불감증이 만연하게 되어버린 세상이다. 아무도 아픈 내색을 공공연히 드러내지 않았지만 그 이면에는 낙태를 둘러싸고 실로 많은 사람들이 아파하고 있었다. 먼저 카메라가 포착해낸 인물은 타과로 이전한 한 산부인과 전문의. 그는 낙태를 거부했고 그것은 아내와의 불화를 만들었다. 이미 분만만으로는 산부인과 병원을 운영하..
-
배철수와 김창완, 그 청년정신의 소유자들옛글들/네모난 세상 2009. 5. 12. 08:54
나이를 숫자에 불과한 것으로 만드는 그들 햇수로 19년이 흘렀지만 한결 같이 저녁 6시면 들려오던 그 털털한 목소리는 변함이 없는 것 같다. 7000회를 맞은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배철수는 7000이라는 숫자에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그저 오늘도 방송을 할 뿐"이라는 것. 하지만 2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유행과 트렌드에 민감한 팝 음악을 소개하는 라디오 DJ로 같은 자리를 지킨다는 것이 어찌 쉬운 일일까. 만일 당대 스무 살로 처음 '배철수의 음악캠프'의 청취자가 됐던 분이라면 지금 불혹의 나이가 되어 있을 터(필자가 그렇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그 자체적으로 20년 터울의 세대가 갖는 차이 따위는 넘어서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것을 가능하게 한 것은 역시 배철수라는 청년정신의 ..
-
'1박2일'과 '패떴', 현지인들에 대한 예의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11. 09:51
'1박2일'과 '패떴'은 모두 여행을 컨셉트로 삼고 있기 때문에 현지인들과의 접촉은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그 접촉에 대한 이 두 프로그램의 방향은 사뭇 다르죠. '1박2일'은 '집으로'편에서 볼 수 있었듯, 현지인들과의 보다 긴밀한 관계를 지향합니다. 반면 '패떴'은 정반대입니다. 도착하는 순간, 그 집 주인분들을 여행보내드리고, 하루를 온전히 자신들만의 세상에서 즐깁니다. 집 주인조차 도착했을 때와 떠날 때 잠깐 만날 지경이니 현지인들과의 접촉은 기대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패떴'이 지금껏 단 한번도 현지인들과 만나지 않았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음식을 만들어 주민들과 나눈 적도 있고, 지역주민들을 모셔놓고 미니 공연을 한 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이벤트는 어딘지 인위적인 느낌이 강..
-
고향집 같았던 '1박2일', 이토록 따뜻한 웃음이라니!옛글들/명랑TV 2009. 5. 11. 01:00
냉소의 시대, '1박2일'이 준 따뜻한 웃음의 가치 얼마 만에 경험하는 따뜻한 웃음일까. 불황으로 웃음이 성공 키워드로 뜬다지만 그 웃음의 대부분은 냉소거나, 조금은 자극에 길들여진 웃음 같은 그런 것들은 아니었던가. '1박2일-집으로'편이 보여준 웃음을 접하고 나서야 비로소 잊고 있었던, 혹은 없다고 생각해왔던 그 따뜻한 웃음이 있었다는 걸 확인하게 됐다. '1박2일' 팀의 경북영양 산골마을 기산리에 사시는 어르신들을 찾아가는 길은 프로그램 말미에 다시 생각해보면, 도시생활에 지친 자식들이 자신이 떠나왔던 고향집에서의 하룻밤을 통해 온전히 힘을 얻고 돌아가는 그 귀향길의 서막이었다. 산골 외딴 집에서 외롭게 사시는 어르신들에게 웃음을 주러간 그들은 오히려 그 어르신들로 인해 맘껏 웃었고, 하루 동안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