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다섯손가락', 왜 끊임없이 추락할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9. 17. 09:43
김순옥표 드라마의 한계, 비약과 과장 과 의 김순옥 작가에게 늘 막장 논란이 끊이질 않았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의 초반부는 분명 어딘지 기존 막장드라마들과는 다른 구석이 있었다. 그것은 아마도 피아노라는 감성적인 소재가 주는 느낌이 일조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의 피아노라는 소재는 김순옥 작가가 그리던 거친 세상과는 대조적인 감성을 보여주었다. 그래서였을까. 은 11.2%(8월18일 agb닐슨)로 시작해 일찌감치 14.1%(8월25일)로 정점을 찍었다. 여기에 아역들이 가진 힘이 있었다. 아이들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자극적인 상황들에 노출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들이기 때문에 막장이라기보다는 동정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만들었다. 이런 분위기는 김순옥 작가의 진화라는 평가까지 만들었다. 하지만 초반 선..
-
김기덕 감독의 오랜 싸움, 이번에는?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2. 9. 15. 09:00
과 싸우던 김기덕, 이번엔 김기덕 감독의 스크린 독점과의 싸움은 오래되었다. 2006년 봉준호 감독의 이 1천만 관객을 단 21일 만에 돌파하는 괴력을 발휘했을 때, 그는 에 토론자로 나와 이 성공 이면에 놓인 스크린 독점의 문제를 성토했다. 실제로 당시 전국 1400여 개의 상영관 중 은 무려 620여개 상영관을 싹쓸이했었다. 물론 영화는 완성도도 높고 작품성도 뛰어났지만(김기덕 감독 스스로도 은 훌륭한 영화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스크린 독과점은 반칙이라는 거였다. 그도 그럴 것이 과 김기덕 감독의 작품 을 비교해보면 그가 얼마나 자신의 영화를 틀어주지 않는 현실에 통탄했던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 620여개 상영관에서 1천만 관객의 기록을 깰 때, 은 고작 한 개의 상..
-
'무신'과 대선, 정말 아무 관계없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2. 9. 14. 09:10
왜 지금 이어야 했을까 이제 종영이 임박한 MBC 주말사극 은 애초 ‘대장경 천년 특별기획’이라는 기치로 제작되었다. 실제로 이 사극의 초반부에는 대장경을 염두에 둔 에피소드들이 매회 등장했다. 조금은 뜬금없어 보였지만, 대장경의 의미를 하나 하나 설명하는 장면들이 사족처럼 들어 있었다. 물론 이 사극의 주인공인 김준(김주혁)이 자라난 곳이 다름 아닌 절이고, 그 역시 최씨 가문의 노예로 끌려오기 전에는 스님이었다. 하지만 은 김준이 노예 신분을 벗고 점점 고려 무신정권의 중심으로 들어오면서 대장경 에피소드하고는 멀어졌다. 드라마의 전체 흐름으로 보면 대장경 에피소드는 마치 명분을 위해 들어간 장면처럼 보인다. 실제 이 다루려고 하는 것은 고려말 무인들이 정권을 휘둘렀던 이른바 ‘무신정권’ 약 100년 ..
-
'런닝맨', 도구를 보면 진화가 보인다옛글들/명랑TV 2012. 9. 13. 08:08
'런닝맨', 그 게임도구의 진화과정 단순해보였던 의 이름표는 끝없는 진화를 거치면서 이 실전게임에 엄청난 변화를 가능하게 했다. 처음에는 그저 떼어지면 죽음을 의미하는(?) 한 출연자의 생명을 의미했지만, 그 뒤에 스파이를 붙이자 게임은 복잡해졌다. 또 커다란 이름표와 작은 이름표로 둔갑하면서 생존가능성의 크고 작음을 나타내기도 했고, 떼도 떼도 또 이름표가 있는 식의 이른바 좀비 이름표도 생겼다. 때론 ‘반사’의 의미로 뗀 사람을 오히려 죽게 만드는 기능으로 변신하기도 했다. 이름표 하나가 보여주는 이런 무수한 변화들은 이 달려온 길을 잘 말해준다. 게임의 진화. 이라는 놀라운 예능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말이 아닐까. 이런 도구의 진화는 물총도 마찬가지다. 오래도록 장전해서 쓸 수 있지만 노출되기 쉬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