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블로거의 시선
-
'휴먼다큐 사랑' PD들, 직접 만나보니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6. 3. 11:10
5월 한 달, 우리들 가슴을 먹먹하게 해준 '휴먼다큐 사랑'. 그 만드는 분들의 면면이 궁금해 MBC를 찾아갔더랬습니다. 마지막 회인 '엄지공주 편'이 방영되는 날이었는데,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때문에 방송사 분위기도 착 가라앉아 있더군요. 'MBC스페셜' 전체의 책임을 맡고 있는 윤미현CP가 '휴먼다큐 사랑'도 맡아서 하고 있었는데, 또 밤을 새웠는지 초췌한 얼굴로 반갑게 맞아주었습니다. 다행히 시간이 있어서 올해 '휴먼다큐 사랑'을 찍은 세 주인공, 유해진, 김새별, 김진만 PD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통해 어떻게 '휴먼다큐 사랑'의 진심이 대중들과 공감하게 되었는가를 알 수 있었죠. 많은 얘기를 나눴지만 그 중에 기억에 남는 몇 마디를 적어보는 것만으로 그 분들의 면모..
-
'마더', 본래 모성은 잔인했다, 악역이었을뿐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6. 2. 09:54
'마더'가 다루는 모성의 세계가 꽤 충격적이고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그것이 새로운 이야기이기 때문은 아니다. '빗나간 모성'의 이야기는 늘 존재해왔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이것은 우리가 늘 고개를 절레절레 젓는 상투적인 드라마 설정의 단골소재로 자리해왔다. 그저 자기 아들만 최고인 줄 알고 며느리 구박하는 시어머니나, 결혼을 반대하는 엄마는 가족 드라마의 단골이며, 자식을 잘 되게 하기 위해서 범죄마저도 불사하는 모성(예를 들면 '카인과 아벨' 같은)이나, 나이 들어서도 아들에게 집착하는 모성(예를 들면 영화 '올가미'같은)은 드라마나 영화 속의 안티테제로 줄곧 등장해왔다. 최근 주말 드라마로 각광받고 있는 '찬란한 유산'을 보면 이 잔인한 모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주인공 은성(한효주)의 계모인 백성..
-
'마더', 김혜자만으로도 충분한 영화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7. 12:40
1980년부터 2002년까지. '전원일기'의 엄마로서 국민엄마라는 호칭이 전혀 어색하지 않았던 김혜자. 하지만 그 무려 22년 간의 세월로 쌓아놓은 국민엄마가 전혀 다른 모습으로 각인되는데는 겨우 2시간 남짓한 시간이면 충분했습니다. '마더'는 국민엄마라는 막연한 호칭 속에 숨겨진 보다 깊은 엄마의 동물적인 본성을 끄집어내 그 끝까지 달려보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마치 큐브 조각을 맞추듯 꽉 짜여있는데다가 상상하기 어려운 전개와 반전이 스릴러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섣부른 리뷰는 그 자체로 스포일러가 되기 십상입니다. 그래서 일단은 배우 김혜자에게만 집중해보도록 하죠. 사실 이 영화는 김혜자라는 배우를 쳐다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전율을 느끼게 해주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의 첫 장면은 대단히 단순하..
-
광장을 내어주셨던 그가 그립습니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6. 11:14
한동안 멍해서 도무지 글을 쓸 수가 없더군요. 하는 일이 대중문화 관련된 일인지라, 이 기본적으로 펀(fun)한 일의 성격이 지금 상황에서는 한 구석으로 동떨어진 세계의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이 안정될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잠시 시끄럽던 TV를 끄고 산책을 하고, 거리를 걷다가 문득 그 분이 우리에게 열어주셨던 광장이 떠올랐습니다. 그렇습니다. 광장입니다. 누군가에 의해 봉쇄되고 차단된 광장이 아니라 누구나 그 위에서 놀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광장. 그 위에서 우리들은 정말 신나게 놀았더랬습니다. 87년 시청앞 광장 앞에 섰던 세대로서 2002년 시청앞을 붉게 물들인 붉은 악마들의 놀이터가 된 광장은 그 자체로 소통의 감동을 주는 것이었죠. 그리고 우리는 그 광장을 온전히 우리들의 놀이터로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