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블로거의 시선
-
'그바보'가 김아중에게 기회인 이유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2. 11:29
'그저 바라보다가(그바보)'는 스타로서의 삶과 보통 사람으로서의 삶이 서로 부딪치며 변화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드라마다. 만일 이 드라마를 평범한 우체국 샐러리맨인 구동백(황정민)의 신데렐라 이야기만으로 본다면 그건 드라마의 반쪽만 보는 셈이다. '그바보'의 나머지 반쪽은 한지수(김아중)의 '잃었던 자기 표정 찾기'가 차지하고 있다. '그바보'의 초반부에 한지수의 표정은 늘 굳어있었다. 혹자들은 그걸 가지고 마네킹 같다는 둥, 김아중의 연기를 도마 위에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은 어느 정도는 수긍될 수 있는 일이다. 김아중은 공교롭게도 '미녀는 괴로워'에 이어 스타를 연기하는 중이고, '그바보'라는 드라마 속에서 김아중이 초반부에 선보여야 하는 연기는 바로 그 고정된 이미지의 반복이기 때문이다..
-
'잘 알지도 못하면서' 리뷰 쓰기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20. 10:43
제목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이기 때문일까. 홍상수 감독의 이번 영화에는 유독 리뷰가 그다지 많이 올라와 있지 않다. 꽤 재미있는 영화인데도 리뷰가 없는 것은 이 영화의 제목도 제목이지만 메시지 자체도 영화속 고순(고현정)이 '딱 아는 만큼만 말해요'라고 한 말 속에 다 들어있기 때문일 것이다. 뭐라 써보려고 해도 그 제목과 메시지가 딱 걸린다. 누군가 이렇게 말할 것 같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그런데 이것은 이 영화의 제목이 가진 직설적인 의미에만 목매인 결과다. 이 영화를 통해 제목이 전하는 뉘앙스는 또 한 가지가 있다. 그것은 사실 우리는 세상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그 상태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리고 영화 속 노화가의 입을 통해 전해지듯, "무언가 다 아는 상태로 작품을 한다는 것 자체..
-
2009외인구단, 오혜성? 차라리 마동탁이 낫다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18. 12:30
1982년입니다. 허름한 만화가게에서 이현세의 '공포의 외인구단'을 처음 접했던 것이 말입니다. 그러니 벌써 몇 년입니까. 이십년 하고도 7년이나 흘렀습니다. '2009 외인구단'이 드라마화된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반가움과 함께 걱정이 든 것은 그 세월의 무게를 과연 이 드라마가 이겨낼 수 있을까 하는 점 때문이었죠. 27년이란 세월은 참 많은 걸 변화시켰습니다. 그중 문화컨텐츠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여성들이문화 소비의 주체로 떠올랐다는 점입니다. 정보사회의 도래는 육체노동의 남성중심적 사회의 틀을 변화시켰고, 감성적인 요구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진출을 가속화시켰죠. IMF는 이러한 변화를 말해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도 읽혔습니다. 남성성이 주체가 되는 개발중심적 사고관은 IMF를 통해 그 거품을 드러..
-
'김씨표류기', 김씨가 김씨에게 손내미는 영화옛글들/블로거의 시선 2009. 5. 15. 16:27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에서 김서방은 수없이 많은 불특정 다수를 말한다. '김씨표류기'의 김씨는 그런 의미다. 그 김씨는 밤섬에 표류하게 된 남자 김씨(정재영)이기도 하고, 자신의 방 속에 스스로를 고립한 채 표류하고 있는 여자 김씨(정려원)이기도 하며, 그 밖에 도시라는 정글의 바다 위에 각자 저마다의 섬을 갖고 표류해 살아가는 우리네 현대인들이기도 하다. 따라서 표류라는 말 또한 의미를 달리한다. 흔히 생각하듯 여기서의 표류는 바다 한 가운데 고립되는 것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도심 한 가운데서도 표류할 수 있고, 집 한 칸에서도 표류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을 함유하는 의미로서의 표류란 '문명화된 공간으로부터의 이탈'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남자 김씨나 여자 김씨 모두 도시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