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들
-
왜 '라스트 갓파더'의 영구는 공감이 가지 않을까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2011. 1. 5. 09:32
'라스트 갓파더', 옛 영구가 그리운 이유 '슬랩스틱'은 말 그대로 '막대기 같은 것으로 철썩 때리는' 형태로 웃기는 코미디다. 이렇게 액면 그대로 이 문구를 해석하면 마치 이 코미디는 맥락도 없고 의미도 없이 자빠지고 두드려 맞는 가학적인 어떤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런 식의 관점을 끌어들여 군부독재 시절에 '슬랩스틱'은 저질 코미디라는 오명을 뒤집어쓰기도 했다. 하지만 어디 찰리 채플린의 슬랩스틱을 보면서 그 누가 저질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한참 보다보면 그 깊은 통찰에 심지어 마음 한 구석이 짠해지는 건 '슬랩스틱'의 웃음이 그저 아동기적인 유희가 아니라, 그 밑바탕에 어떤 페이소스를 깔고 있기 때문이다. 찰리 채플린은 '모던타임즈'를 통해 산업화되어가는 사회를 통찰했고, '독재자'를 통해 비이..
-
'드림하이', 배용준은 왜 박진영을 만났을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1. 1. 4. 09:04
'드림하이', 1세대 한류가 2세대 한류를 만났을 때 배용준이 얼굴을 보인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기대감을 높여놓은 드라마, '드림하이'. 제목처럼 그 꿈은 컸다. 제2의 한류가 아이돌로 이어지고 있는 현재, 제1의 한류를 이끌었던 배용준이 드라마로 이를 다룬다는 건 꽤 야심찬 기획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한류의 선봉장으로서 배용준의 이미지는 이어질 것이고, 이제 새로운 한류로 피어나는 아이돌들은 그 품 안에서 드라마로 그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용준과 박진영을 위시한 아이돌들의 만남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실제 가수들이 드라마 주인공으로 출연한다는 점에서 이 드라마는 반 리얼이다. 물론 설정된 캐릭터들의 상황들이 분명히 있지만, 스타를 꿈꾸던 그들이 차츰 성장하고 한류돌로서 세계무대에 우..
-
2010 노래가 있어 행복했네, 2011년은?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1. 2. 08:27
대중문화의 중심에 선 노래, 2011년은? 2010년은 대중문화에 있어서 노래로 기억되는 한 해였다. 카라와 소녀시대로 촉발된 제2의 한류와, '슈퍼스타K2'에 대한 폭발적인 대중들의 반응은 우리네 노래가 가진 잠재적 힘이 어떤 비등점을 넘어서는 징후처럼 보였다. 기획사의 아이돌 그룹들이 그저 그런 포장을 뜯어내고 실력으로 무장한 채 해외시장을 넘나들 때, 다른 한 편에서는 대중들에 의한 대중들을 위한 대중들의 스타들이 저마다의 사연을 안고 무대 위에 올라 노래를 불렀다. 한쪽은 대중들이 열광할만한 '잘 만들어진' 가수들이었다면, 다른 한쪽은 대중들이 '만들어가는' 가수들이었다. 아이돌 그룹들은 그 품 안에 10대에서부터 중장년까지를 끌어안으면서 세대를 통합시키고,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아시아를 넘어 남미..
-
고현정은 할 말 했다, 하지만 대상수상이 문제다옛글들/네모난 세상 2011. 1. 1. 14:56
SBS 연기대상은 왜 무리수를 썼을까 정말 탈도 많고 말도 많은 드라마가 아닐 수 없다. '대물' 말이다. 시작 초기부터 작가가 교체되고 PD까지 교체되고는 갈팡질팡하더니, SBS 연기대상에서까지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고현정의 수상소감이 너무나 지나치게 훈계조인데다 심지어 건방져 보이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어떤 말이 갖는 뉘앙스는 상황에 따라 완전히 달라 보일 수 있다. 고현정은 정말 건방진 태도로 시청자들을 훈계하려 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고현정이 한 말들은 지나치게 자신감이 넘쳤다는 것 이외에 그 자체로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보인다. 고현정은 이번 '대물' 작업을 하면서 특히 많았던 마음고생을 당당하게 밝힌 것이고, 이런 내부적인 문제들에 대한 외부의 왜곡된 시선들에 안타까운 마음을 표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