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해석하라! '하이킥'의 결말처럼 본문

옛글들/스토리스토리

해석하라! '하이킥'의 결말처럼

D.H.Jung 2012. 4. 12. 16:11
728x90

어린 시절, 형은 가끔씩 수수께끼를 내고는 하루 종일 답을 알려주지 않곤 했다. 답이 뭘까 곰곰 생각하며 답답해하는 내 모습이 자못 재밌었던가 보다. 하루가 꼴딱 지나고도 답을 몰라 묻는 내게 형은 적선하듯 답을 알려주곤 했다. 그런 형이 미웠던 걸까. 언젠가부터는 형에게 묻지 않고 혼자 문제를 풀려고 하는 욕구가 강해졌다. 고등학교 수학 문제를 풀 때도 마찬가지였다. 정말 어려워 문제풀이를 결국 들여다봐야 할 때마다 형의 장난스런 얼굴이 떠올라 괜스레 약이 오르곤 했다. 어쨌든 세상사에 다 그럴 듯한 이유가 있고 또 모두 어떤 답이 분명히 있다고 착각하게 됐던 건 아마도 이 어린 시절 체화된 문제 풀이 경험 때문일 게다. 하지만 어디 사는 게 수학문제 같을까. 때론 답이 없는 게 삶이고, 어쩌면 그저 문제만 던져진 것이 삶이라는 것을 후에야 알게 되었다.


 

'하이킥'(사진출처:MBC)

수학공식 같은 드라마를 볼 때마다 "저건 거짓말이야"라고 생각하게 된 건 그래서일 게다. 첫 회를 보면 마지막 회를 예감할 수 있는 공식적인 드라마들이 마구 쏟아져 나올 때마다 이건 어딘지 아니다 싶은 마음에, 언젠가부터는 마지막 회를 안보는 습관까지 생기기도 했다. 그 예정된 결말이 과정들을 너무 무가치한 것으로 만들어버리곤 하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늘 그런 결말들만 있는 건 아니었다. '지붕 뚫고 하이킥' 같은 의외의 결말도 있으니까. 갑자기 생각지도 못한 교통사고. 멈춰버린 시간. 희극과 비극이 겹쳐지는 그런 결말. 그래서 보는 우리들에게 수많은 해석의 여지를 남겨 놓는 결말. 수학문제처럼 답이 있다고 여기는 우리들의 단순해진 생각을 단번에 뒤집어놓는 충격요법.


그래서일 것이다. '지붕 뚫고 하이킥'의 마지막을 수놓은 신세경에 대한 수많은 해석들이 쏟아져 나온 것은. 장면 장면의 디테일 속에 숨겨진 것들을 끌어 모아, 신세경이 애초부터 귀신이었다거나 연년생 동생이 있었다는 해석은 얼마나 대중들이 그 충격으로부터 그럴 듯한 답을 구하고픈 욕망이 강했던가를 잘 말해준다. 수수께끼 같은 결말을 던져주고 답을 주지 않을 때, 이제 그 남은 빈 여백은 온전히 각자가 채워 넣어야 할 것이 되어버린다. 어린 시절, 알려주지 않는 수수께끼의 답을 내 상상력으로 채우려 했던 것처럼.


삶이 답 없는 문제의 풀이과정 같다고 생각하게 된 것은 중년의 나이에 도달해서였다. 사실 그저 널려진 자연 속에 어떤 법칙이나 흐름이 정해져 있다고 믿는 건, 그 해석이 삶에 유리함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하늘에 떠 있는 별 그 자체에 무슨 의미가 있으랴. 다만 그 별들을 바라보며 별자리를 그리고 거기에 이야기를 덧붙인 사람들의 해석이 있었기에 그 별에 의미가 생긴 것이리라. 우리는 날 때부터 커다란 빈 도화지 한 장을 받았고 아무런 법칙도 흐름도 물론 답도 없는 저 마다의 그림을 그리며 살아갈 운명을 부여받았다. 그러니 갑작스럽게 삶의 흐름이 생각했던 답에서 멀어진다고 하여, 슬퍼하거나 당황해하지 말라. 그것이 우리네 삶의 본질이니. 다만 주어진 것을 해석하고 풀이하라. 그것이 우리 삶을 저마다의 의미로 만들 것이다. '하이킥'의 결말이 우리에게 던진 숙제를 통해 보여준 것처럼.